본문 바로가기
이것도여행이지/전시

나너의 기억 _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by 연습중인최 2022. 6. 17.
반응형







나너의 기억

 


국립 현대미술관 전시 소개글 _
«나너의 기억»은 급변하는 사회 시스템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전시다.

돌이켜보면 우리는 너무 빠르게 변해 왔다. 예컨대 21세기를 기점으로 디지털 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과거에는 상상하지도 못할 만큼 빠른 속도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수많은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모든 인류에게 혁신적인 편리함을 가져다줄 것으로 여겨졌지만, 오히려 새로운 디지털 시스템에 민첩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이는 도태되고 마는 아이러니를 만들었다.


최근에는 바이러스로 인해 세계가 일순간에 멈춰 버렸다. 우리는 바이러스와 수차례 싸워 왔지만, 이번 바이러스로 인간과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났고 전 인류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국가 정책은 하루가 다르게 바뀌었고, 이전과 달리 개인의 일상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시스템에 빠르게 적응하느라 우리는 그동안 숨 가쁘게 달려왔다.


어제의 정보와 삶의 방식이 오늘은 용인되지 않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무엇을 삶의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가. 너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삶의 모습을 스스로 반추하고, 사고하는 법을 잊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어쩌면 이 혼란과 격동의 시대야말로 우리가 스스로를 잠시 멈춰 세우고 무엇을 기억할 것이냐고 자문해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

전시는 자신과 타자의 기억이 혼재되고 중첩되는 현상을 들여다보면서 개인의 기억을 점유하는 주체는 누구이고, 어떤 기준에 따라 정보가 기억되고 망각되는지에 대해 고찰하며 시작된다. 나아가 과거의 수많은 정보가 선택·편집되어 형성된 현재의 기억은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현재의 발자취를 바탕으로 형성될 미래의 기억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 질문한다. 현재의 우리는 어떤 정보를 남기고 있는지, 미래 세대는 남겨진 정보를 어떠한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지금의 우리를 기억하게 될지 상상해 봄으로써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모습과 삶의 방식을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 작가루이즈 부르주아, 뮌, 박혜수, 세실리아 비쿠냐, 송주원, 시프리앙 가이야르, 아크람 자타리, 안리 살라, 앤디 워홀, 양정욱, 임윤경, 허만 콜겐, 홍순명 총 13명(팀)
  • 작품수13점

 

반응형




 

후기 -


함께 전시하고 있는 히토 슈타이얼의 데이터의 바다와는 완전히 상반되는 느낌을 주는 전시였다.
[데이터의 바다]가 역동적이고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시라면,
[나너의 기억]은 정적이고 모호한 은유가 많은 전시 같았다.
작품 중에 앤디 워홀의 영상 작품도 있는데 보면서
'앤디 워홀은 그냥 자고 있는 친구의 콧구멍을 촬영해도 예술품이 되는구나.'
이런 감성 제로의 말라빠진 생각이나 하고 있었다.
나는 히토 슈타이얼의 전시에 빠져 보고 난 이후에 이 전시로 와서 그런지 여기 작품들이 보여주는 감정에 집중하지 못했다. 그리고 일단 다리가 너무 아팠다. 😭
다음번에 다시 방문해서 긴 시간으로 이번에는 [나너의 기억]부터 봐야겠다.


이날 앞 전시를 보느라 체력을 많이 소모해버려서 ( 거의 뭐 숨만 쉬고 사는 몸...😂 ) [나너의 기억]은 많은 시간을 관람하지 못했다.


- 한 번에 두 전시를 다 관람하시는 분은 꼭 먼저 보고 싶은 전시 위주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체력 분배를 잘 하시길 바래요! 아니면 뭐 간단히 먹을 만한 에너지바라도 챙기시길!

 






⭐지금 국립 현대미술관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전시예요.

[이것도여행이지/전시] - 데이터의 바다_히토 슈타이얼

 

데이터의 바다_히토 슈타이얼

데이터의 바다_히토 슈타이얼 기간 2022-04-29 ~ 2022-09-18 주최/후원 국립현대미술관 / 신영증권 장소 서울 지하1층, 2, 3, 4전시실, 프로젝트 갤러리 관람료 서울관통합권 4,000원 작품수미디어, 영상

yeongah.tistory.com









국립현대미술관_나너의 기억

 

국립현대미술관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www.mmca.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