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교조각의 세계
전시장소 : 상설전시관 3층 세계문화관 일본실
전시기간 : 2022-04-05~2023-10-09
관람안내 : 무료 관람
전시소개
이 전시는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의 불교조각품을 특별 공개하는 전시입니다.
일본의 불교미술은 6세기 이후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초기에는 한국과 중국의 영향을 받은 불상을 만들었으나, 헤이안 시대에 해당하는 9세기부터는 일본의 독자적인 불교문화가 나타납니다. 대일여래를 중심으로 한 밀교密敎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한 정토교淨土敎가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일본 고유의 신앙과 불교가 합해진 신불습합神佛習合 또한 한국과 중국에서는 없는 일본의 독특한 불교문화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일본의 불교신앙인 밀교, 정토교, 신불습합을 대표하는 5점의 조각품을 선보입니다.
일본에서 불상은 주로 국가사업이나 귀족, 무사 가문의 후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완성된 불상은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에게 위안과 감동을 주었을 것입니다. 불상에 담긴 염원은 시간과 장소를 뛰어넘습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먼 바다를 건너 우리를 찾아온 부처와 만나, 그 염원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 보시기 바랍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소개 글)
일본관에 들어서면 맨 처음 무사의 갑주를 보게 된다. 세벌의 갑옷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앉아 있는, 사방이 어둡고 무섭기도 한 장면이 보이자마자 관객의 시선을 집중하게 만든다.
많은 일본의 불상이 전시되어 있지는 않아 아쉽기도 했다. 일본과 한국과 중국의 불상은 묘하게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 면이 있기도 한 것 같다. 일본의 불상은 표정과 자세와 옷의 주름에서, 좀 더 절제된 느낌을 준다.
이번 전시관에서 불상보다 이 다도에 대한 설치관이 인상적이었다. 덴류지 정원의 경치를 담은 미디어 설치물과 다도실을 아름답게 배치해 놓았다. 높이 180cm 정도 되는 아주 작은 다도실의 창으로 덴류지 정원의 사계가 담긴 영상과 조명이 드라마틱하게 표현된다. '한적하고 소박한 정취의 미의식'을 이 삭막한 공간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앞에 놓은 나무의자에 앉아 그 미디어 영상을 보고 있기만 해도 마음이 평안해질 것만 같다. 그게 '다도문화'를 보면서 받는 감정이기도 한 것 같다.
⭐ 국립중앙박물관 정보는 여기서 더 많이 보실 수 있어요!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이것도여행이지 >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_ 특별 전시 _ 영원한 삶의 집, 아스타나 고분 (0) | 2022.08.06 |
---|---|
국립중앙박물관 _ 특별 전시_ 빛의 향연-예산 수덕사 괘불 (2) | 2022.08.06 |
국립중앙박물관_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품전_메소포타미아, 저 기록의 땅 (0) | 2022.08.05 |
2022 서울 핸드아티코리아_ 관람 후기 (0) | 2022.07.29 |
2022 공간디자인페어 / 코리아빌드 / 호텔페어 _ 관람 후기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