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학습 범위--
Ch 05. 제어문
CH05_04. 리스트 자료형
CH05_05. 리스트 자료형 실습문제
오늘은 리스트 자료형 강의와 실습문제를 풀어 보는 시간이었다. 강의에서 리스트를 사용하는 이유와 만드는 방법을 예를 들어서 쉽게 설명해 주고 있어서 이해하기 편했다. 휴... 다행... 리스트 자료형은 할당연산자를 사용하고 있고 대괄호를 만들어 데이터를 넣어주고 콤마로 구분해 준다. 또 빈 리스트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명[-1]은 가장 마지막 데이터 값을 반환해 준다. ⭐
리스트 만드는 방법
리스트명 = [ 데이터, 데이터, ... , 데이터 ]
리스트명 = [ ] / 껍대기만 있는 빈 리스트도 만들 수 있다.
데이터 접근하기
animals = ["사자", "호랑이","고양이",...,"강아지"]
[0] [1] [2] .....
데이터 추가 : 리스트.append(데이터)
데이터 할당 : 리스트[인덱스] = 데이터
데이터 삭제 : del리스트[인덱스]
리스트 슬라이싱 : 특정 리스트의 부분을 뽑아오는 것
리스트[시작:끝 + 1]
리스트 길이 : 데이터의 총 개수를 반환해 준다.
len(리스트)
리스트 정렬
리스트.sort() :오름차순 정렬
리스트.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정렬
# - 데이터가 없는 리스트
empty = []
# 2. 리스트 조작하기
# - 데이터 접근하기
# - 인덱스는 0부터 시작
print(animals[-1]) # 가장 마지막 데이터 값을 반환해 줌
# - 데이터 추가
animals.append("고라니")
print(animals)
# - 데이터 할당하기
animals[1]="청개구리"
#벼메뚜기를 청개구리로 바꾸기
# - 데이터 삭제하기
del animals[0]
print(animals)
# - 슬라이싱
animals[1:3] # 비단뱀, 도룡룡 뽑아내기
print(animals)
print(animals[1:3])
print(animals[:]) # 전체를 다 가져오라는 것
print(animals[:3]) # 시작 인덱스 생략 가능
print(animals[1:]) # 끝 인덱스 생략 가능 / 마지막까지라는 뜻
# - 리스트 길이
print(len(animals))
# - 리스트 정렬
animals.sort() #오름차순
print(animals)
animals.sort(reverse=True) #내림차순
실습 1/
다음은 2학년 3반 1번부터 5번까지 학생의 팔굽혀펴기 개수이다. 데이터는 리스트에 저장 되어 있다. 각 문항을 실행한 결과를 출력해 보자.
result = [33, 40, 12, 63, 52]
1. 6번 학생 = 9개 리스트 마지막에 추가하기.
2. 2번 학생은 재측정하여 50개를 함 / 데이터 변경하기.
3. 3번부터 6번까지 데이터 슬라이싱하기.
4. 모든 데이터 오름차순 정렬하기.
#실습 1
result = [33, 40, 12, 63, 52]
# 1. 6번 학생 = 9개 리스트 마지막에 추가하기.
result.append(9)
# 2. 2번 학생은 재측정하여 50개를 함 / 데이터 변경하기.
result[1] = 50
# 3. 3번부터 6번까지 데이터 슬라이싱하기.
result[2:6]
print(result[2:6])
# 4. 모든 데이터 오름차순 정렬하기.
result.sort()
print(result)
실습 2/
일주일간의 턱걸이 횟수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 리스트에 저장된 데이터의 평균을 구해 출력하기
표준입력 표준출력
1일>>>20 22
2일>>>23
3일>>>16
4일>>>14
5일>>>24
6일>>>27
7일>>>30
#실습 2
list = []
a = int(input("1일차 횟수>>"))
list.append(a)
a = int(input("2일차 횟수>>"))
list.append(a)
a = int(input("3일차 횟수>>"))
list.append(a)
a = int(input("4일차 횟수>>"))
list.append(a)
a = int(input("5일차 횟수>>"))
list.append(a)
a = int(input("6일차 횟수>>"))
list.append(a)
a = int(input("7일차 횟수>>"))
list.append(a)
total = list[0] + list[1] + list[2] + list[3] + list[4] + list[5] + list[6] + list[7]
avg = total/7
print(int(avg))
for i in range(1, 101) :
a = int(input("7일차 횟수>>"))
list.append(a)
#위와 같이 반복적으로 코드가 쓰이게 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반복문을 통해 만든다.
2번과 같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반복문을 쓴다.
link :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취미부자 > 취미1_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8일차 / 반복문 실습 (0) | 2021.11.08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7일차 / 반복문 (0) | 2021.11.07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5일차 / 조건문 실습 (0) | 2021.11.05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4일차 / 파이썬 조건문 (0) | 2021.11.04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3일차 / 파이썬 기초 (0) | 2021.11.03 |
댓글